반응형

소방전기 128

비상전원반 결선도 프로테크

#프로테크#비상전원반#전원반결선 프로테크 비상전원반 결선 방법입니다. AC220V단자는 맨 왼쪽 입니다. 비상판넬에서 AC전원을 공급받습니다.PA, PB 는 중계기 통신 단자입니다.수신기 또는 중계반으로 부터 통신선로가 넘어오면 여기를 거쳐서 중계기로 연결하면 됩니다. 꼭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 비상전원반이 2대2 중계기 역활을 할수 있기에 필요한 경우 연결합니다.공통(-), 발신기, 전화 단자 입니다. 수신기에서 출발한 전화,응답, 공통단자를 연결하고 발신기로 연결하면 됩니다.#표시등 을 켜 줘야 합니다. 표시등 단자는 항상 + 가 나옵니다 표시등 단자와 공통(-) 단자를 테스터기로 측정하면 DC24V가 나옵니다.소화전주펌프, 소화전예비펌프가 기동을 하면 기동램프를 켜줘야 합니다 #존슨콘트롤즈는 ..

전실제연설비 인버터방식 가변풍량제어시스템

나도 잘 몰른다 한번 해봤다 일단 기본적인 전실제연설비는 한다 그게 급기만 있든 배기까지 있든 화재시 중계기가 출력으로 전실댐퍼 열리게 하고 전실댐퍼 열리는 신호 받아서 FAN을 돌리는건 소방수신기의 역활이다.송풍기보다 10M 위에서 풍량을 조절하는건 복합댐퍼의 역활이다.복합댐퍼 설치하고 이런건 다 같다  https://blog.naver.com/seosh20/223385927225?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인버터제연방식 은 FAN을 돌려주는 MCC가 좀 다르다이게 내가 알고 있는 것의 전부이며  인터버제연방식 가변풍량제연방식을 하면 인버터용 중계기가 설치되고 그게 인버터랑 연결이 되어야 한다.  복합댐퍼 배관 배선 방법 MFD 배관 배선 방법#복합댐퍼 #복합댐..

소방전기 2024.06.29

펌프 <-->수신기가 배선

수신기에서 펌프를 기동하기 위해서 배선을 포설할때 수신기에서 펌프 mcc 까지 필요한 배선의 가닥수 입니다.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배선의 굵기는 전압강하의 문제가 있지만 2.5sq 로 충분히 기동이 가능했습니다.  터널은 않되요  일단 가닥수 입니다. 외울때 수신기에서 펌프 한대당 4가닥이 필요합니다. 펌프수량 x 4C 확인의 - 를 COM 잡으면 3가닥 +1 펌프수량 X 3C +1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위에 예시입니다.

소방전기 2024.06.29

프로테크 수신기 이력복사 방법

수신기에 기록된 이력(화재,설비,고장,조작)에 대한 이벤트 기록을 복사하는 방법입니다. ​ 수신기에 다운로드용 USB가 있습니다. 이걸 CRT 컴퓨터에 꽂습니다 만약끼워져 있다면 뺐다가 다시 끼우세요 2.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뜹니다. USB를 꽂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3. 마우스로 팝업창을 닫으시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나옵니다. USB 드라이브가 연결되었습니다. -->USB를 꽂았으니까 이력을 USB 드라이브에 복사하시겠습니까?-->YES 복사가 금방됩니다. 왜냐면 텍스트라서 용량이 작습니다. 4. USB에 잘 들어갔는지 확인합니다. CRT 왼쪽 하단의 검정부분을 눌러서 CRT를 종료 합니다. 프로그램종료 클릭 5. 비번은 "0000" 숫자 0 이 4번입니다. 6. 내컴퓨터로 들어가서 7. USB드라..

프로테크수신기 비상방송이 않될때

#프로테크 #화재수신기 #비상방송 이 않될때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비상방송프로토콜방식 #비상방송프로토콜 프로테크 수신기 비상방송 #커미셔닝 ​ 일단 수신기와 방송AMP 는 거의 대부분 2가닥 으로 연결합니다. RS485 방식이 두가닥 연결이 거든요 아래와 같이 수신기 단자에 비상방송 라인이 연결되어 있다면 AMP에도 선이 연결되었느지 확인합니다. 위와 같이 콘넥터가 빠져 있다면 연결된것이 아니니 연결해보셔서 비상방송이 연동되면 끝 그런데 만약 비상방송연동이 되지 않는다 그러면 비상방송AMP에 프로토콜이 들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소방수신기에서 방송AMP로 약속된 프로토콜을 보냈는데 AMP에 프로그램이 없다면 연동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방송AMP 제조사 별로 소방회사 수신기마다 DIP S/W를 조정하거..

프로테크 수신기 어드레스 설정방법

프로테크 수신기 어드레스 설정방법입니다. ​ 수신기가 1대만 있으면 수신기 번호는 1번이며 DIP S/W 도 1번입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여러대의 수신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면 수신기에 번호가 있어야 서로 연동이 되고 잘 감시할수 있습니다. ​ 수신기의 어드레스 설정방법입니다. ​ 수신기 문짝을 열면 오른쪽에 아래와 같은 PCB 기판이 달려있습니다. 여러개가 달려 있는데 그중에 첫번째 기판에 DIP S/W가 수신기번호를 설정합니다. ​ 수신기 번호를 설정하는 DIP S/W는 1번~6번까지 DIP S/W를 가지고 사용합니다. ​ DIP S/W를 올려서 설정합니다. ​ 수신기번호 DIP S/W ON 1번 1번 ON 4번 1,3번 ON 10번 2,4번 ON 19번 1,2,5번 ON 그리고 더욱 중요한 ..

프로테크 네트워크수신기 복구 방법

둘 이상의 수신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초기 수신기 출고시 수신기 문짝을 열고 오른쪽 벽면에 아래와 같은 카드가 달려 있습니다. 통상 수신기 MUX Card라고 합니다. 수신기 번호에 대해 이 카드로 정해 줍니다. 초기설정으로 납품된 경우 MUX Card Dip S/W 6번이 ON 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럴경우 수신기가 여러대 네트워크되어 있더라도 복구 스위치를 누른 수신기만 복구 됩니다. 만약 내가 네트워크 되어 있는 수신기 모두를 같이 복구 하고 싶다면 6번 Dip S/W 를 OFF로 변경하고 Reset 스위치를 누르면 같이 복구 되게 됩니다. #프로테크 #프로테크수신기 #프로테크수신기복구 #네트워크수신기복구 #프로테크수신기화재복구

비상콘센트 설비 정상 복구 방법

비상콘센트 설비의 정상상태 입니다. 차단기가 올라가 있고 붉은색 표시등이 들어오는 상태입니다. 차단기가 내려가면 붉은색LED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만약 차단기가 올라가 있는데 붉은색LED가 않들어온다 -->TEST기로 전압을 측정합니다. TEST기로 전압을 측정해서 -->AC220V 정도가 나오면 비상콘센트 LED 불량입니다. TEST기 전압을 측정해서 -->AC220V 정도가 않나오면 비상콘센트가 연결된 전기 분전반을 확인합니다. LE 판넬이나 LEM 판넬의 비상콘센트 차단기를 확인합니다. 차단기가 스위치가 ON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OFF에 있다면 ON 으로 스위치를 올리고 비상콘센트의 전원 LED와 전압을 확인합니다. ON이로 되어 있다면 연결된 배선을 찾아 단선구간을 확인합니다. 단선이 되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