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전기/ETC

알람밸브 공사의 구분 알람밸브의 하자 구분

seosh20 2025. 7. 8. 19:11
728x90
반응형

#하자판단기준

#알람밸브하자판단기준

#알람밸브공사구분

#알람밸브시공업무범위

이 것을 왜 포스팅 하느냐 관리사무소 근무하시는 분들은 소방전기 하는 사람들이 소방공사 다 한줄 알고

기계설비 공사하는 사람들은 기계 설비 공사만 하는줄 안다

현장마다 건설사마다 시공의 범위를 정하는것이 다르고 업무 범위도 다른기 때문에

이거 왜 않돼냐고 나한테 처음 여쭤보시는데 업무 Load 를 줄이고자 통상적인 부분을 표현해 보고자한다.

Alarm Valve #알람밸브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물의 흐름을 감지해서 화재라고 인식하게 하는 밸브 입니다.

수신기상에

알람밸브 PS 동작확인 은 알람밸브의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가 동작했다는 뜻이고 그뜻은 알람밸브의 방호구역 안에 있는 헤드가 터져서 물이 흐르고 있다는 뜻이다.

알람밸브 TS 동작확인 은 알람밸브의 탬퍼스위치(Tamper Switch)가 동작했다는 뜻이고 누군가가 알람밸브 1차측에 설치된 게이트밸브 or 버터플라이밸브를 잠궈서 물이 흐를수 없게 막았다는 뜻이다.

소방공사시 공사의 구분은 위와 같다

설비업체에서는 알람밸브 납품과 수계 배관을 시공한다.

소방전기업체는 수신기, 중계기 설치하고 중계기와 알람밸브PS, TS를 결선한다.

그럼 누구의 하자 인지 판단하는 기준이다.

수신기에 알람밸브 PS, TS 동작확인이 뜨는 경우

  1. 중계기의 입력회로의 고장
 

입력회로에 선로를 제거 했는데도 LED가 들어오고 또는 전압을 찍었을때 0V가 뜨면 그건 중계기 고장으로 소방전기 에서 하자를 봐야 한다.

2. 결선불량

결선을 잘못한 경우

--> 시공당시에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준공후에는 없음 PS 가 들어와야 하는데 TS가 들어오는 경우가 대표적이고

3. 알람밸브PS, 알람밸브 TS 의 자체불량이다.

이 두가지는 각각 밸브에 무언가를 부착해서 만드는 설비다

그렇다 보니 밸브회사들도 잘 몰르는 경우가 있다.

판단방법 중계기에서 해당 선로를 제가 했는데 동작확인이 않뜨고 알람밸브 PS 나 TS에서 선로를 제거하고

테스터기 부저로 놓고 두 선을찍었을때 부저가 울리면 내부 회로가 붙어서 동작 표시를 한다.

이때 알람밸브 PS 자제불량

 

알람밸브 TS 자제불량이다.

거의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는데 저 리미트 스위치의 불량이 많다

저 리미트 스위치의 불량은 설비업체가 납품한 밸브의 문제이다.

728x90
반응형